고성 1ㅡ통일전망대, 화진포 금구도, 이기붕 별장, 이승만 별장
ㅡ고성 통일전망대, 금강산, 해금강 조망과 반공교육 목적으로 1984년 준공한 우리 나라 최북단에 위치한 전망대, 휴전선과 남방한계선이 만나는 해발 70미터 고지, 금강산과 해금강이 지척에 보인다. 발 아래 휴전선 철책을 두고 대치하고 있는 최전방 초소는 남북한의 긴장감 실감난다. 실향민과 통일을 염원하는 이들을 위한 성모상, 미륵불상 등 종교적인 부대시설과 장갑차, 탱크 등 안보 전시물 있다.
ㅡ고성 화진포 금구도, 화진포 앞바다에 위치한 무인도, 섬의 형상이 거북이 같다 하여 금구도라 명명, 섬에는 화강암으로 축조된 성벽, 보호벽, 방파성 등의 흔적 남아 있다. 고구려 연대기에 394년 광개토대왕 3년 화진포의 거북섬에 광개토대왕의 왕릉 축조 시작했고 414년 장수왕 2년에 광개토대왕 시신 안장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런 연유로 금구도가 광개토대왕릉이라는 설이 제기, 특히 고구려 지명 중 '홀' 이 붙은 곳은 왕릉이 있는 곳이라는 주장 더해져 과거 가라홀, 달홀로 불리었던 이 지역에 광개토대왕릉이 있다는 설을 뒷받침하고 있지만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ㅡ고성 화진포 이기붕 별장, 이승만 별장과 김일성 별장 사이 호숫가에 위치, 1920년 선교사에 의해 건축, 해방후 북한 공산당 간부 휴양소로 사용, 휴전후 부통령이었던 이기붕의 처 박마리아의 별장으로 사용, 집무실과 응접실 등 갖춰져 있다.
ㅡ고성 화진포 이승만 대통령 별장, 동해안 최대의 자연 호수로 호숫가 주위 모래밭에 해당화가 많이 핀다하여 이름지어진 화진포호에 위치, 침실, 거실, 집무실, 유품 등 볼 수 있다.그 뒤에 새로 지어진 이승만 기념관이 자리잡고 있다.
ㅡ고성 화진포해수욕장 근처에 대중가요인 '화진포에서 맺은 사랑' 노랫말이 적혀 있는 현판 보인다.